본문 바로가기

npm

(3)
[Node.js] package.json에서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 package.json을 보면 아래와 같이 dependencies 영역이 있고, devDependencies 영역이 있다. devDependencies에는 개발 환경에서만 사용하는 패키지들을 명시한다.{ "dependencies": { "express": "^4.17.1" }, "devDependencies": { "webpack": "^5.0.0", "webpack-cli": "^4.0.0" }} npm install을 하면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 영역에 명시된 모든 패키지가 설치된다.프로덕션에서 devDependencies 영역에 해당하는 패키지들을 설치하지 않으려면 아래 두 명령어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패키지를 설치하면 된다.npm install..
[Node.js] npm run start 와 npm start package.json의 scripts가 아래 이미지에서와 같이 있다고 할 때, start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. 1. npm run start 2. npm start npm run start 라고 해도 동작이 되고, npm start라고 해도 동작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두 명령어에는 차이가 없으며 npm start는 단순히 npm run start를 짧게 쓰는 방법일 뿐이다. "scripts": { "start": "node dist/bin/www.js", "test": "jest" }, test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방법도 마찬가지로 아래처럼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, 두 방법은 완전히 동일하다. 1. npm run test 2. npm test
npm 모듈 설치 시 code EACCES errno -13 npm으로 모듈을 global 옵션을 줘서 설치하려고 할 때 아래 오류를 만났다. code EACCES syscall mkdir errorno -13 에러 로그 아래쪽을 보면 It is likely you do not have the permissions to access this file as the current user 를 확인할 수 있다. 말 그대로 현재 유저가 해당 작업을 하는 데에 권한이 없다는 말이므로, root 권한으로 모듈을 설치해주면 된다.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보면 sudo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 권한으로 설치 시 정상 설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